티스토리 뷰

목차

     

    금융상품에 가입하기 전에는 해당 상품이 속한 금융기관의 종류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요. 금융기관마다 안정성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제대로 알아보고 선택해야 합니다. 금융기관은 크게 제1금융권, 제2금융권, 그리고 제3금융권으로 구분됩니다.

    금융기관의 분류

    제1금융권

    제1금융권은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으로 구성됩니다. 인터넷전문은행은 오프라인 점포 없이 온라인을 통해 모든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의 은행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KB국민은행, 신한은행과 같은 시중은행과 카카오뱅크, 케이뱅크와 같은 인터넷전문은행이 있죠.

     

    반응형

    제2금융권

    제2금융권에는 저축은행, 증권사, 보험사, 카드사, 캐피탈 등이 포함됩니다. 이들은 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을 가지고 있으며, 제1금융권보다 대출 심사 기준이 덜 엄격하고, 이로 인해 대출 이자율이 높은 경우가 많은데요.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을 모두 운영하는 금융 그룹도 있기 때문에, 금융기관의 이름에 '은행' 또는 '저축은행'이 붙어 있는지 잘 확인해야 합니다.

     

    제3금융권

    제3금융권은 대부업체와 같이 제도금융권에 포함되지 않는 사금융권을 가리킵니다. 흔히 '사채'라고 불리며, 이들은 높은 위험성을 동반하는 금융기관으로 분류되죠.

     

    제2금융권의 특징과 리스크

    제2금융권에 속하는 저축은행은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은 상품을 많이 제공합니다. 저축은행의 금리가 높은 이유는 제1금융권과 달리 은행법의 적용을 받지 않기 때문인데요.

     

    상대적으로 대출 심사 기준이 덜 까다롭기 때문에, 제1금융권에서 대출이 어려운 사람들에게 더 많이 이용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특성 때문에 저축은행은 대출금을 온전히 회수하지 못할 위험이 있어, 경우에 따라 파산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파산이 발생하면 예금한 돈을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죠.

     

    반응형

     

    예금자 보호 제도란?

    저축은행에 예금을 하더라도, 예금자보호제도를 통해 최대 5,000만 원까지는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이 제도는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에 속한 금융회사가 영업을 중단하거나 파산했을 때 예금보험공사가 고객의 예금을 대신 지급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예금 보호 한도는 금융기관별로 5,000만 원까지입니다. 예를 들어, A저축은행의 한 지점과 모바일 앱에 각각 5,000만 원씩 예금했다면, 동일한 금융기관이므로 총 1억 원 중 5,000만 원만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A저축은행에 5,000만 원, B저축은행에 5,000만 원을 예금한 경우, 서로 다른 금융회사에 예치했기 때문에 1억 원 전체를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안전한 금융 상품 선택하기

    혹시나 예금한 돈을 돌려받지 못할까 걱정된다면, 예금자보호제도가 적용되는 한도 내에서 여러 금융회사에 분산하여 자금을 예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일부 상품은 예금자 보호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므로, 가입하기 전에 반드시 보호 대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